엑셀 REPLACE 함수 사용법에 관해 알아보는 글입니다. 문자열에서 특정 텍스트를 원하는 텍스트로 바꾸고 싶은 경우 REPLACE 함수를 사용 해볼 수 있습니다. REPLACE 기본 및 응용 사용법과 REPLACEB 함수까지 확인해보세요.
엑셀 연습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연습을 해보면 이해가 훨씬 쉽습니다.
엑셀 REPLACE 함수 사용법
▶︎REPLACE 함수: 텍스트 문자열의 일부를 지정된 글자 수만큼 다른 텍스트 문자열로 바꿔주는 함수 입니다.
▶︎= REPLACE ( 텍스트문자열, 시작지점, 문자수, 신규문자열 )
엑셀 REPLACE 함수는 문자 열에서 특정 텍스트를 내가 원하는 길이 만큼 원하는 다른 텍스트로 바꿀 수 있는 함수 입니다.
만약 문자 열에서 전체 텍스트를 바꿔야 하는 경우라면 Substitute 함수를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.
엑셀 REPLACE 함수 기본 사용법
엑셀 REPLACE 함수 기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아래 사진처럼 결과값을 내는 방법을 ①~③ 순서대로 확인해볼게요.
①기본사용법
위 사진의 ① 부분을 보세요. ‘사과나무에 사과가 열렸다’ 라는 문자열에서 뒤에 있는 ‘사과’를 ‘토마토’ 로 바꿔보겠습니다. 그러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함수식을 입력합니다.
=REPLACE ( A2, 7, 2, “토마토” )
A2라는 문자열의 7번째 글자부터 시작해서 2개 글자수까지 ‘토마토’로 바꾸겠다는 의미입니다. 그 결과 ‘사과’가 ‘토마토’로 바뀌었습니다.
②개인정보 *로 바꾸기
이번에는 769654-1938374라고 되어 있는 주민등록번호에서 뒷자리만 *로 바꿔 보겠습니다. 그러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함수식을 입력해 주세요.
=REPLACE ( A3, 8, 7, “*******” )
즉, A3 문자열에서 8번째 글자부터 시작해서 7개의 글자를 *******로 바꾸겠다는 의미입니다. 그 결과 주민등록번호가 769654-****** 으로 바뀌었습니다.
③개인정보 0000으로 바꾸기
이번에는 010-1234-5678이라고 되어 있는 전화번호에서 뒷 자리만 0000으로 바꿔보겠습니다. 그러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.
=REPALCE ( A4, 10, 4, “0000” )
즉, A4 문자열에서 10번째 글자부터 시작해서 4개까지의 글자를 0000 으로 바꾸겠다는 의미입니다. 그 결과 전화번호가 010-1234-0000 으로 바뀌었습니다.
엑셀 REPLACE 함수 응용 사용법
REPLACE 인수 입력 시 시작 지점의 번호와 바꿀 글자 수를 직접 세야 합니다. 그런데 문자열이 너무 길어서 직접 찾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.
이런 경우에는 FIND 함수, LEN 함수를 이용해서 직접 위치를 찾지 않고 자동으로 위치 번호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.
아래와 같은 문자열 예시가 있습니다.
▶︎이번 프로젝트 정식 명칭은 good project 12 이다.
여기서 ‘good project 12’ 를 ‘good project 99’로 바꾸려고 한다고 해보겠습니다.
그러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함수식을 입력합니다.
▶︎=REPLACE (A1, FIND (“good project 12”, A1), LEN (“good project 12”), “good project 99”)
어떻게 함수식이 이렇게 나오게 되었는지 하나씩 뜯어 살펴 보겠습니다.
▶︎=REPLACE (A1, FIND (“good project 12”, A1), LEN (“good project 12”), “good project 99”)
= REPLACE ( 텍스트문자열, 시작지점, 문자수, 신규문자열 ) 입니다. 따라서 우선 문자열이 나와 있는 A1 셀을 선택합니다.
그 후 FIND 함수를 이용해서 시작지점을 찾아야 합니다. 우리는 good project 12 가 몇 번째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 찾아야 합니다. 그리고 A1 문자열에서 찾을 것입니다. 따라서 FIND (“good project 12”, A1) 이라고 입력을 해줍니다.
▶︎=REPLACE (A1, FIND (“good project 12”, A1), LEN (“good project 12”), “good project 99”)
= REPLACE ( 텍스트문자열, 시작지점, 문자수, 신규문자열 ) 에서 문자수를 입력해야 하는데요. 문자 개수를 알려주는 함수로 LEN 함수가 있습니다. 따라서 LEN (“good project 12”)라고 입력을 해서 문자수를 바로 구합니다.
그 후 바꾸려는 문자를 입력해 주면 되는데요. 우리는 good project 12 를 good project 99 으로 바꿀 것입니다. 따라서 위 수식처럼 good project 99를 큰 따옴표 안에 입력해주세요.
그 후 엔터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문자열이 자동으로 바뀌게 됩니다.
▶︎’이번 프로젝트 정식 명칭은 good project 12 이다.’ → ‘이번 프로젝트 정식 명칭은 good project 99 이다.’
즉, 시작 시점과 문자수를 직접 세기 어려운 경우 FIND, LEN 함수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입력이 되게 할 수 있습니다.
엑셀 REPLACEB 함수란?
참고로 REPLACEB 라는 함수가 있습니다. 이는 한국어, 중국어, 일본어처럼 한 글자를 2바이트로 인식하는 언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.
사용 방식은 REPLACE 함수와 동일합니다. 다만 한 글자를 2바이트로 인식하므로 시작지점, 문자수를 입력할 때 한 글자를 2바이트로 생각하여 입력을 해야 합니다.
한 글자는 2바이트, 공백은 1바이트로 인식을 합니다.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문구에서 두 번째 ‘사과’를 ‘토마토’로 바꾼다고 해보겠습니다.
▶︎사과나무에 사과가 있다. (=A1 셀)
원래라면 아래와 같이 함수식을 입력해야 합니다.
▶︎=REPLACE (A1, 7, 2, “토마토”)
하지만 REPLACEB 함수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해야 합니다.
▶︎=REPLACEB(A2, 12, 4, “토마토”)
그래야 아래와 같이 동일한 결과 값을 낼 수 있게 됩니다.
▶︎사과나무에 토마토가 있다.
<결론>
▶︎REPLACE 함수: 텍스트 문자열의 일부를 지정된 글자 수만큼 다른 텍스트 문자열로 바꿔주는 함수 입니다.
▶︎= REPLACE ( 텍스트문자열, 시작지점, 문자수, 신규문자열 )
이상 엑셀 REPLACE 함수 사용법에 관한 글이었습니다.